728x90 반응형 전체 글24 자산의 유동화와 고정화의 차이는? 고정자산의 증권화란? 간단 정리 자산의 유동화와 고정화 자산은 회사에 돈의 증가를 가져오는 것이므로 회사가 앞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설비 투자를 통해 자산을 증가시켜야 한다. 한편 자산이 많다는 것은 규모가 크다는 증거이므로 대량 생산을 통해 원가를 인하하는 ‘규모의 경제’를 활용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자산은 많은 것이 좋을까? 아니면 적은 것이 좋을까? 자산뿐만 아니라 모든 회계 수치는 금액의 크기만 보고 좋은지 나쁜지를 판단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자산이 1억원인 회사와 자산이 10억원인 회사가 있을 때 이 수치만으로는 어느 쪽이 더 좋은 회사라고 말할 수 없다. 회계 수치를 분석할 때는 기본적으로 다른 수치와 비교하여 판단한다. 예를 들어, 자산의 금액을 매출이나 이익과 비교하여 비율을 계산하거나, 동일한 사업을 운영.. 2022. 5. 23. 순자산과 총자산의 차이는? 유동자산이란? 회전율과 회전기간 개념 총정리 순자산과 총자산 부채와 자본의 합계인 자산 전체를 ‘총자산’ 또는 ‘총자본’이라 한다. 또한 자본은 다른 말로 순자산, 순자본, 자기자본, 주주자본이라고도 한다. ‘총’은 모두라는 의미이므로 총자산/총자본은 자산 전체, 즉 부채와 자본의 합계를 나타낸다. ‘순’은 알맹이, 주요한 부분이라는 의미이므로 순자산, 순자본은 자산에서 부채를 뺀 자본을 나타낸다. ‘자기’나 ‘주주’는 모두 주주를 의미하므로 자기자본/주주자본은 주주 지분을 나타내는 자본을 의미한다. 유동자산 자산은 크게 유동자산과 고정자산으로 나눌 수 있다. 자산은 미래에 회사의 돈의 증가를 가져오는 것이다. 유동이나 고정은 회사의 돈의 증가를 가져오기까지의 시간의 길고 짧음에 대한 것이다. 유동자산은 통상적으로 영업 활동으로 생기는 자산이나 1.. 2022. 5. 23. 대차대조표와 재무상태 초간단 정리 대차대조표(Balance Sheet, B/S) 대차대조표는 계정과목 중 자산, 부채, 자본에 대한 정보가 기재된 것이다. 자산은 앞으로 회사에 돈의 증가를 가져올 것이고, 부채는 앞으로 회사에 돈의 감소를 가져올 것이다. 자본은 주주의 지분을 나타내며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것이다. 대차대조표는 회사가 앞으로 돈을 얼마나 벌 수 있고(자산), 그중 채권자의 몫이 얼마이며(부채) 주주의 몫은 얼마나 남는가(자본)를 나타낸다. 대차대조표의 형식은 아래와 같다. 자산, 부채, 자본은 각각 여러 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실제의 대차대조표에는 다음과 같은 구분되어 있다. 자산이 돈의 증가, 부채가 돈의 감소를 가져온다고 하지만 어느 시점에서 이러한 돈의 증감이 발생할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이러한 문제.. 2022. 5. 21. 금융자산과 사업용(비용성) 자산이란? 대손충당금의 개념 뜻 간단 정리 금융자산과 사업용 자산 자산은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건물, 공장, 설비 등과 같이 미래의 수익에 대응시키기 위해 비용 인식을 연기해 놓은 자산이나, 회사가 매입하여 아직 팔리지 않은 상품과 같이 앞으로 영업을 통해 판매할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사업용 자산’이라 한다. 상업용 자산은 글자 그대로 회사가 사업을 위해 사용할 자산이다. 반면 현금과예금, 외상매출금, 대여금 등은 회사가 사업을 위해 사용하려고 돈을 지불하고 보유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자산을 ‘금융자산’이라 한다. 사업용 자산의 특징은 회사가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투자한 것이며, 앞으로 수익을 낼 때 비용으로 계상된다는 점이다. 결국 사업용 자산은 모두 언젠가는 비용이 된다. 건물, 공장, 설비 등의 자산은 미.. 2022. 5. 18. 감가상각과 비용 배분 간단 정리 감가상각 비용을 미래의 일정 기간에 걸쳐 배분하기 위해서는 우선 미래의 수익에 대응시켜 배분할 부분을 비용이 아니라 자산으로 계상해 둔다. 예를 들어, 100억 원을 들여 공장을 세웠다면 (차변) 공장 100억 원 (대변) 현금과예금 100억 원 여기서 자산으로 계상된 100억 원은 ‘상각’이라는 절차를 통해 수익이 계상된 때 비용으로 계상된다. 상각은 미래의 수익을 얻기 위해 소요된 지출을 수익에 대응시켜 배분하는 절차이며, 건물이나 공장 등 실체가 있는 자산의 상각을 특히 ‘감가상각’이라 한다. 정리!! - 상각: 비용을 미래의 수익에 대응시켜 배분하는 절차 구체적으로는 공장을 세우기 위해 지출한 100억 원 중에서 당기의 수익에 대응하는 부분이 약 10억 원이라면, 이것은 감가상각비라는 비용 과목으.. 2022. 5. 18. 잔액시산표란? 자본잠식의 개념 간단 정리 잔액시산표 계정과목을 모두 모아 표로 만든 것을 ‘잔액시산표’라 한다. 잔액시산표는 재무제표는 아니지만 5가지 계정과목의 위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알아 둘 필요가 있다. 계정과목 중 자산과 비용은 차변 과목이고 부채 / 자본 / 수익은 대변 과목이다. 따라서 모든 계정과목의 잔액을 모으면 다음과 같은 표로 정리된다. 이 표는 모든 계정과목의 잔액을 집계한 것이므로 표의 대차, 즉 왼쪽과 오른쪽의 합계는 반드시 일치해야 한다. 계정과목은 분개에 의해 금액이 더해지기도 하고 빼지기도 한다. 이러한 분개의 대차가 반드시 일치하는 이상 분개에 의해 더해지고 빼지는 계정과목을 모아도 대차는 반드시 일치해야 한다. 또한 잔액시산표의 윗부분은 대차대조표가 되고 아랫부분은 손익계산서가 된다. 위의 그림을.. 2022. 5. 15. 이전 1 2 3 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