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E47B53DE356B62C7B267B1A0449AAEF 'Economy' 카테고리의 글 목록 (3 Page)
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Economy23

자기자본비율이란? 기업의 안전성과 신용등급은 무엇일까? 자기자본비율 회사의 장기안전성을 도모하는 또 따른 지표로 ‘자기자본비율’이 있다. 자기자본비율은 총자산에 대한 자기자본의 비율을 말한다. 부채는 만기일까지 돈을 갚아야 할 의무가 있지만 자본은 회사의 소유자인 주주의 것이므로 갚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총자산 중에서 자기자본의 비율이 높을수록 안전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회사에 부채가 많으면 갚아야 할 돈이 많아져 힘들기도 하지만, 부채가 적으면 그만큼 자본이 많아져서 주당순이익과 배당금이 줄어들기 때문에, 반드시 부채가 적다고 좋은 것만은 아니다. 그러나 자기자본비율이 너무 낮으면 안전성의 관점에서 문제가 있다. 안전성과 신용등급 신용등급은 회사의 안전성, 즉 회사가 도산하지 않고 빌린 돈을 상환할 수 있는가를 나타낸다. 신용등급에 대해 주의할 점은 .. 2022. 5. 27.
유동부채와 고정부채의 차이는? 사채발행차금, 유동비율, 당좌비율이란? 간단 정리 부채 부채는 ‘유동부채’와 ‘고정부채’로 나뉜다. 유동부채에는 외상매입금과 지급어음 그리고 1년 이내에 상환해야 하는 차입금과 사채 등이 있다. 그 외의 장기부채, 즉 1년 이후에 상환해야 하는 차입금과 사채 등은 고정부채에 포함된다. 앞에서 자산은 돈으로 회수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유동자산과 고정자산으로 나누어진다고 했다. 고정자산 유동자산 참고: 순자산과 총자산의 차이는? 유동자산이란? 회전율과 회전기간 개념 총정리 순자산과 총자산의 차이는? 유동자산이란? 회전율과 회전기간 개념 총정리 순자산과 총자산 부채와 자본의 합계인 자산 전체를 ‘총자산’ 또는 ‘총자본’이라 한다. 또한 자본은 다른 말로 순자산, 순자본, 자기자본, 주주자본이라고도 한다. ‘총’은 모두라는 의미 abnormal.0comma1.c.. 2022. 5. 24.
영업권은 무형자산일까? 유형자산, 무형자산, 투자자산 간단 정리 유형자산 유동자산은 현금화되는 시간이 짧은 자산이다. 반면, 고정자산은 현금화되는 시간이 긴 자산이다. 고정자산은 투자자산/유형자산/무형자산으로 나누어진다. 이들은 같은 고정자산이라 하더라도 성격이 서로 다르다. 유형자산은 글자 그대로 형태가 있는 고정자산으로 건물, 공장, 설비, 토지 등이다. 대차대조표에 ‘건물 1억 원’이라 기재가 되어 있다면, 설비나 건물을 위한 지출은 미래의 수익에 대응하여 감가상각에 의해 배분되므로, ‘과거의 지출 중 아직 비용화 되지 않은 부분이 1억 원 남아 있다.’라고 생각해야 한다. 감가상각 참고: 감가상각과 비용 배분 간단 정리 감가상각과 비용 배분 간단 정리 감가상각 비용을 미래의 일정 기간에 걸쳐 배분하기 위해서는 우선 미래의 수익에 대응시켜 배분할 부분을 비용이 .. 2022. 5. 24.
자산의 유동화와 고정화의 차이는? 고정자산의 증권화란? 간단 정리 자산의 유동화와 고정화 자산은 회사에 돈의 증가를 가져오는 것이므로 회사가 앞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설비 투자를 통해 자산을 증가시켜야 한다. 한편 자산이 많다는 것은 규모가 크다는 증거이므로 대량 생산을 통해 원가를 인하하는 ‘규모의 경제’를 활용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자산은 많은 것이 좋을까? 아니면 적은 것이 좋을까? 자산뿐만 아니라 모든 회계 수치는 금액의 크기만 보고 좋은지 나쁜지를 판단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자산이 1억원인 회사와 자산이 10억원인 회사가 있을 때 이 수치만으로는 어느 쪽이 더 좋은 회사라고 말할 수 없다. 회계 수치를 분석할 때는 기본적으로 다른 수치와 비교하여 판단한다. 예를 들어, 자산의 금액을 매출이나 이익과 비교하여 비율을 계산하거나, 동일한 사업을 운영.. 2022. 5. 23.
728x90
반응형